카테고리 없음

고양이 눈이 빨갛고 눈곱이 많다면? 결막염 초기 증상과 대처법 총정리

happyriser 2025. 8. 6. 08:36

“고양이 눈이 빨개졌어요.”
“한쪽 눈만 감고 있어요.”
“눈곱이 계속 끼는데 병원에 가야 할까요?”

 

이런 증상들은 고양이에게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안과 질환,
바로 결막염일 수 있습니다.
결막염은 초기에 치료하면 빠르게 회복되지만,
방치하면 각막염, 실명, 만성 눈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.

 

고양이 결막염이란?

 

결막염은 눈의 흰자와 안쪽 눈꺼풀을 덮는 얇은 막(결막)에
염증이 생긴 상태를 말합니다.
고양이에게 매우 흔하며,
감염성, 알레르기성, 이물 자극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.

 

 결막염이 생기면 나타나는 증상

 

다음 증상 중 2가지 이상이 지속된다면 결막염을 의심해야 합니다.

증상  설명
눈이 빨갛고 부어 있음 결막 혈관 확장, 염증 반응
눈곱이 많고 끈적임 세균 또는 바이러스 감염 시 주로 발생
눈물이 많아지고 계속 흐름 안구 자극 또는 감염
눈을 자주 감고 있음 통증 또는 이물감 반응
앞발로 눈을 긁거나 문지름 간지러움 또는 따가움
한쪽 눈만 이상함 단안 결막염 → 이물·기생충 가능성
양쪽 눈 모두 이상함 바이러스성 감염 의심

 

 고양이 결막염의 주요 원인

원인 유형 세부 원인

원인 유형 세부 원인
감염성 칼리시바이러스, 헤르페스바이러스, 클라미디아, 마이코플라즈마
알레르기 먼지, 꽃가루, 세제, 향료 등
이물질 털, 모래, 먼지, 식물 씨앗 등
외상 발톱 긁힘, 싸움 후 상처
기생충 눈 주변 기생충, 진드기 감염 등
안검질환 속눈썹 이상, 눈꺼풀 뒤집힘 등

 

👉 특히 바이러스성 결막염은
전염력이 높고, 재발 가능성도 높기 때문에
 빠른 진단과 치료가 중요합니다.

 

 결막염, 집에서 이렇게 확인해보세요 (자가 진단 체크리스트)

체크 항목  이상 여부
눈이 붉거나 충혈되어 보임 ✅ / ❌
눈곱이 노란색 또는 초록색 ✅ / ❌
눈을 계속 감고 있음 ✅ / ❌
눈 주위에 눈물이 말라 딱지처럼 붙어 있음 ✅ / ❌
눈을 자꾸 앞발로 긁는다 ✅ / ❌
평소보다 눈 주변을 자주 손질한다 ✅ / ❌

 

이 2개 이상일 경우,
병원 진료가 꼭 필요합니다.

 

 병원에서는 이렇게 치료해요

 진단

  • 수의사의 시진 및 검안
  • 형광 염색 검사 (각막 손상 여부 확인)
  • 결막 도말 검사 (세균/바이러스 확인)
  • 필요한 경우 혈액 검사 또는 PCR

 

 치료

치료 방법 설명
항생제 점안제 세균성 감염 시 필수
항바이러스제 헤르페스, 칼리시바이러스 감염 시
항염증제 눈 붓기 및 통증 완화
인공눈물 건조한 눈 완화, 자극 감소
안약 투여 주 2~3회에서 매일 4회까지, 수의사 지시 따름

 

 주의:
사람용 안약이나 일반 안과약 절대 사용 금지!
고양이 눈은 매우 민감하기 때문에
반드시 고양이 전용 안약 사용 + 수의사 처방 필요

 

 치료 중 주의할 점

  • 손 씻기 철저: 안약 넣기 전후
  • 양쪽 눈 모두 투약: 증상 없는 눈도 바이러스 확산 가능성 존재
  • 투약 시간 일정하게 유지: 효과 극대화
  • 증상 완화 후에도 일정 기간 약 계속 사용: 재발 방지
  • 다묘가정은 격리 필요: 감염성 결막염일 경우 전염 위험

 

 결막염 예방법

  • 창문은 방충망 설치 필수
  • 눈 주변 털 정기적으로 다듬기
  • 고양이용 먼지 적은 모래 사용
  • 환기 자주 시켜 실내 먼지 줄이기
  • 매일 눈 상태 체크하는 습관 들이기
  • 헤르페스/칼리시 바이러스 백신 접종 유지

 

 자주 묻는 질문 Q&A

 

Q. 한쪽 눈만 빨갛고 눈곱이 나와요. 이물질 때문일까요?
A. 가능성 있습니다.
 하지만 한쪽 눈만 증상이 있어도 세균 감염일 수 있고,
며칠 지나 양쪽 눈으로 번질 수 있습니다.
→ 2~3일 이상 지속되면 병원 진료 권장

 

Q. 결막염은 다른 고양이에게 전염되나요?
A. 감염성 결막염의 경우
침, 눈곱, 그루밍 등으로 전염 가능
→ 다묘가정은 격리와 손 위생이 매우 중요합니다.

 

Q. 사람에게도 전염되나요?
A. 일반적인 고양이 결막염은
사람에게 전염되지 않습니다.
다만 드물게 클라미디아균 감염 시 감염 가능성은 있으므로
접촉 후 손 씻기 철저히 해주세요.

 

마무리 요약

고양이 결막염은
흔하지만, 절대 방치하면 안 되는 질환입니다.

 

✔ 눈 붓기, 눈곱, 눈물, 눈 감기 = 결막염 신호
✔ 세균성 vs 바이러스성 감염 → 정확한 진단 필요
✔ 자가 확인 가능하되, 2일 이상 증상 지속 시 병원 방문
✔ 사람용 안약 절대 금지! 고양이 전용 안약만 사용
✔ 다묘가정은 감염 예방 위한 격리 관리 필수
✔ 예방은 환기, 모래 관리, 눈 주변 청결로 시작

 

오늘 저녁, 고양이 눈을 조용히 들여다보는 시간을 가져보세요.
작은 변화가 큰 문제를 막아줄 수 있습니다.

 

고양이 결막염